esp-12e 버전을 샀다.

요렇게 생긴놈이다.


esp8266모듈을 사용한 건데 esp8266모듈은 종류가 많다.

esp-1 .....esp-12 까지 12종류나 된다.



내가 산건 nodemcu에서 만든 devkit 1.0 같은데 자료가 잘없다.

nodemcu v2라고도 하고 뭐 이름도 정확하게 안정해진거 같다.

제일 위에 사진.

음하...

이걸 고른건 다른 esp8266 모듈은 

전원부랑 uart부분이 구성되있지 않아서 따로 회로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재료도 없고 귀찮아서 이걸 고른거다.

근데 자료가 너무 없어서 삽질좀 했다.

devkit 은 0.9버전이랑 1.0 버전이 있는데 

uart 부분에 사용된 칩으로 구분하면 되는 듯 하다.

메인 mcu로 구분한다.

0.9버전은 CH340G칩을 사용했고

esp-12버전을 사용했고 esp-12는 아래쪽에 핀이 없다.



1.0버전은 CP2102칩을 사용했다.

esp-12e버전을 사용하고 아래쪽에 핀이 추가로 생겼다.



모듈 사이즈도 1.0버전이 작단다.


삽질한건 이게 lua환경(ESPlorer)에서는 잘 사용이 된다(펌웨어 업로드가 잘된다).

근데 아두이노 환경에서는 펌웨어 업로드가 안되는 거다.

이게 지금 아두이노 환경에는 nodemcu esp-12가 있어서 이걸로 하면 될줄 알았는데

이보드가 아니다 이건 0.9버전인가보다.

이걸 선택하면 펌웨어 업로드가안된다.

1.0을 지원하는 정식(?)버전은 아직 안올라 왔고.


Additional Boards를 선택할때

http://arduino.esp8266.com/package_esp8266com_index.json <-여기는 없다.

http://arduino.esp8266.com/staging/package_esp8266com_index.json <-여기를 써넣어야 된다.


하고 나면 보드선택할때 nodemcu 1.0 esp-12e module라는 보드가 생긴다.

이걸 선택해야 정상적인 펌웨어 업로드가 된다.


devkit 1.0의 pinout





모듈 자체는 전원 영향을 많이 받는 듯 하다.<-아직은 추정이다.

아두이노의 어드벤스웹서버 예제를 실행시키고 나서 

노트북 usb에 연결했을때는 10분 간격으로 모듈이 리셋되버렸는데

2A짜리 핸드폰 충전기에 연결했을때는 1시간 정도 되도 괞찬은거 같다.

더이상의 시간은 실험을 아직 안해봤다.

이걸 추정이라고 하는게 노트북에 연결했을때는 

시리얼 부분이랑 충돌 혹은 메모리 부족으로 모듈이 리셋되는건지 

전원이 약해서 리셋되는건지 아직은 정확하게 알수가 없기 때문이다.

하여튼간 가끔 모듈이 리셋되므로 

유지되야 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사용하지 말자...

아직까지는...  


 

'주물럭조몰락 >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p-12e <-> android test 2  (0) 2015.07.13
esp-12e <-> android test  (0) 2015.07.10
esp-12e + 1.8 lcd test  (0) 2015.07.09
해보고 싶은것들.  (0) 2014.01.31
가지고 있는 것들.  (0) 2013.12.21
Posted by 조몰락조몰락